반응형

정보통신관련기사 4

정보통신관련기사 :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친환경 스마트도로, 스마트 센서, 클라우드 산업

Issue #1)  첨단 운전자 지원시스템(ADAS)의 한계한국교통안전공단, 운전중 전방 장애물을 감지하고 자동으로 감속해주는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이 빗길 등에서 충돌사고 위험을 충분히 줄여주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  경기도 화성시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 비상자동제동장치, 적응형 순항장치에 대한 안전성 시험평가 결과 불안전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 빗길 재현 조건 또는 눈 덮인 길과 비슷하게 마찰력을 떨어트린 "바살트" 조건등에서시속 30km/h 주행시에도 장애물과 충돌 아울러 ACC기능을 켠 채 옆 차선에서 앞선차량이 차선을 침범한 경우AEBS가 작동하지 않아 운전자 직접 조정 필요 ADAS는 사고예방에 도움을 주나, 젖은 길이나 타 차량의 차선 침범 등다양한 도로환경에서 절대적 안전을 보장해주지 않..

정보통신관련기사 :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 2025년 IT 핵심기술, 지자체 CCTV

Issue #1)  부산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WSCE) 경기도 킨텍스에서 매년 열리던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가올해는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2025년 7월 15일부터 7월 17일까지 예정) 부산시,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2025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 개최도시 선정 공모에벡스코와 함께 응모하여 지난달 30일 최종 선정 WSCE는 세계 각국 스마트시티 관련 최신 기술과 혁신을 공유하기 위해2017년부터 국토부, 과학기술정통부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아시아 최대 스마트시티 전시회(그동안 정부행사로 진행되었으나, 올해부터 도시가 주체가 되는 행사로 탈바꿈) 지난해 WSCE에는 70개국 330여 개사가 참여하고 4만명 가까이 관객이 참관하였으며수도권에서 이루어졌던 첨단산업 분야의 교류와 비즈니스 활동에 따른 디지털..

2023년 국가지능정보화백서

인공지능(AI) 1. 초거대 AI혁명과 생성형 AI  ㅇ 2022년 11월 Open AI의 Chat GPT는 초거대 AI 기술이 본격적으로 일상에 파고드는 계기 ㅇ Chat GPT 등장은 인공지능이 화이트칼라 직종과 일상의 영역으로 깊숙이 침투했다는 의의 - 초거대 생성형 AI : 구글의 Bard, 메타의 LLaMA, 마이크로소프트의 Copilot, 엑스에이아이의 Grok 2. 빅테크 기업 간 생성형 AI 경쟁 치열  ㅇ생성형 AI를 주도하는 초거대 AI는 대부분 LLM을 핵심기술로 사용 ㅇ 국내 AI 인재들은 주로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등으로 유출 (다양한 정책과 지원 강화) - 국내는 AI 기초교육 강화와 글로벌 AI 인재 영입을 위한 제도 정비 시급한 현실) 3. AI 경쟁력 확보 전략과 과제..

2024년 ICT 10대 이슈

□ 2024년 ICT 10대 이슈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ㅇ 조사개요 "국내 ICT 산업에서 단기적으로 주목할 이슈를한발앞서 조망하고, 선제적 대응 방안 모색"  ㅇ 2024 ICT 10대 이슈  1) 인공지능 : 모든 곳의 AI, 경량화로 실현한다  ㅇ 범용 인공지능 시대의 개막 ㅇ 초거대 AI, 모델경쟁부터 서비스 경쟁까지 확전 전망 ㅇ 가볍지만 똑똑하게, 더 치열해질 AI 경량화(sLLM) 경쟁 2) 반도체 : 성능혁신의 주역을 찾다  ㅇ AI 특수로 재편되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 - 대규모 데이터 병렬 연산이 필수화 되면서, GPU 중심 반도체 시장 재편 - 고성능, 고효율 데이터 전달 필요에 따라, 메모리 반도체 반등 국면 진입 ㅇ GPU, NPU가 공존할 AI 반도체 생태계 - GPU : Gra..

반응형